생활 한자
생활한자

2022. 9.30(금) 한자&명언 圖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
작성일22-10-04 23:37 조회142회 댓글0건

본문

2022. 9. 30(금)

한자와 명언

(1475) 

 圖 章

*그림 도(囗-14, 6급) 

*글 장(立-11, 6급)


말을 잘하고 글도 잘 쓰면 오죽 좋으랴만, 그런 사람은 매우 드물다. 그러면 ‘말’과 ‘글’ 가운데 어느 것이 오래 남을까? 먼저 ‘圖章’이란 두 글자를 풀이해 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圖자의 ‘큰 입 구’(口)는 국토의 경계를 나타내고, 그 안에 있는 啚(비)는 ‘행정구획’을 의미하는 鄙(비)자의 본래 글자이다. ‘(나라의) 지도’(a map)가 본뜻인데, ‘그림’(a diagram) ‘꾀하다’(planning)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章자는 ‘설 립’(立)이 부수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立 + 早’의 구조로 잘못 보기 쉽다. 사실은 ‘소리 음’(音)과 ‘열 십’(十)의 구조로 보아야 한다. 음악의 ‘악장’(a movement)이 본래 의미였는데, 시가나 문장의 ‘단락’(a paragraph)이나 ‘법’(a law)을 가리키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圖章은 ‘그림[圖]이나 글[章]을 새긴 것’, ‘이름을 새겨 서류에 찍어 증거로 삼는 물건’을 이른다. 성인이 되면 누구나 도장을 하나 이상 간직한다. 그것이 자신의 운명을 가를 수도 있으니 잘 간수해야 한다. 


송나라 때 대문장가였던 소동파(1037-1101)의 아래 명언을 보면 맨 앞에서 제시한 문제의 답을 금방 알 수 있다. ‘말’을 잘못해도 ‘글’을 잘 쓰면 오래가지만, ‘글’은 젬병인데 ‘말’만 잘하면 오래 남지 못한다. 

 

“옛사람이 후세에 명성이 전해지는 까닭은, 

 그의 말을 글로 남겼기 때문이다.”

  古人之所以自表見於後也者, 

  고인지소이자표현어후야자

  以有言語文章也

  이유언어문장야

    - 蘇軾.


●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속뜻사전 편저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