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한자
생활한자

2024. 8. 7(수) 한자와 명언 納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
작성일24-08-07 15:26 조회104회 댓글0건

본문



2024. 8. 7(수)

한자와 명언(1933)   

  納 品

*바칠 납(糸-10, 4급) 

*물건 품(口-9, 6급)


“참외밭에서는 신발 ○을 매지 말고, 자두나무 아래에선 ○을 잡지 말라!”

 공란에 들어갈 말은? 먼저 ‘물건 납품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골치가 아팠다’의 

‘納品’이란 두 한자를 속속들이 공부한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명언이 좋기는 하지만, 한자 공부가 급선무이다. 


納자의 전신은 ‘內’(내)였고, ‘內’는 ‘入’(입)에서 분가한 것이다. 

옛날에는 이상 세 글자가 통용되다가 각자 저마다의

 역할을 분담 받았다. ‘들이다’(bring in) ‘바치다’(pay; supply)는 뜻으로 

쓰이는 納자에 ‘실 사’(糸)가 들어간 것으로 보아 옛날에는 주로 실이나 비단을 바쳤나 보다.


品자는 원래의 자형이 고스란히 잘 보존되어 있는 희귀한 예다. ‘입 구’(口)가

 셋이나 되니 ‘여러 사람’(the crowd)이 본뜻이었는데, ‘물건’(articles) ‘종류’(kinds) ‘등급’(grades)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활용됐다. 


納品은 ‘물품(物品)을 가져다 줌[納]’을 이른다. 맨 앞 문제에 대한 답이

 들어 있는 명언을 아래에 소개해 본다. 조조의 셋째 아들 조식(曹植, 192-232)이 지은 

시 ‘군자행(君子行)’에 나오는 말이다. 오해받을 일은 아예 하지 말라는 뜻이 담겨 있다. 


“참외밭에서는 신발 끈을 매지 말고, 

 자두나무 아래에선 갓을 잡지 말라!”

  瓜田不納履, 과전불납리

  李下不整冠. 이하부정관

   - 曹植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선생님 한자책> 저자.

   (jeonkj@skku.edu).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