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4(금) 한자와 명언 倒錯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
작성일25-04-04 08:33
조회2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2025. 4. 4(금)
한자와 명언(2095)
倒 錯
*거꾸로 도(人-10, 3급)
*섞일 착(金-16, 3급)
‘감정 또는 덕성의 이상(異常)으로 사회나 도덕에 어그러진
행동을 나타냄’을 이르는 심리학 용어는? ①倒錯 ②到着 ③倒着 ④道着. 답인 ‘倒錯’이란 두 한자를 익힌 다음에 관련 명언을 찾아보자.
倒자는 사람이 걸어가다 ‘넘어지다’(collaps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사람 인’(亻)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到(이를 도)가 발음요소다. ‘거꾸로 되다’(upside down)는 뜻으로도 쓰인다.
錯자가 본래는 ‘도금하다’(gild)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쇠 금’(金)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후에 그 일과 관련이 깊은 ‘섞다’(compound)
‘어긋나다’(be contrary to) ‘틀리다’(go wrong) ‘뒤섞이다’(be mixed) 등의 의미로 확대 사용됐다.
倒錯(도:착)은 ‘뒤바뀌고[倒] 뒤섞임[錯]’이 속뜻인데,
‘도착 증상’ 같은 심리학적 용례에 대한 정의는 맨앞에서 본 바와 같다.
‘섞일 착’(錯)자가 쓰인 명언을 찾아보았더니 아래와 같은 것이 있었다.
명나라 소설가 풍몽룡(馮夢龍)이 한 명언이다. 매사에 만전을 기해야 하겠다.
“한 수만 잘못 두어도
한판 바둑이 허탕 된다.”
只因一着錯, 지인일착착
滿盤都是空. 만반도시공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