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30(화) 한자&명언 苦樂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관련링크
본문
2023. 5. 30(화)
한자와 명언 (1647)
苦 樂
*괴로울 고(艸-9, 6급)
*즐거울 락(木-15, 6급)
세상에 즐거움은 하고 많다.
즐거운 일이 자신에게 기쁨으로 다가오자면 어떤 조건이 갖추어져야 할까?
먼저 ‘苦樂’이란 단어에 대해 샅샅이 살펴본 다음에 관련 명언 명답을 찾아보자.
苦자는 ‘씀바귀’(bitter lettuce)를 가리키기 위한 것이었으니, ‘풀 초’(艸)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古(옛 고)는 발음요소다.
씀바귀는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쓴맛’(bitter)이나 ‘아픔’(ache)을 형용하는 것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樂자는 나무(木)로 짠 틀 위에 악기를 매달아 놓은 모습이 변화된 것으로
1인3역을 하는 단어다. 즉, ‘즐겁다’(pleasant)는 [락], ‘풍류’(elegance)나
‘음악’(music)은 [악], ‘좋아하다’(be fond of)는 [요]로 읽는다. 각각 따로 글자를 만들지 않은 것은 귀찮아서(?) 그랬나 보다.
苦樂은 ‘괴로움[苦]과 즐거움[樂]’을 이른다. 영어 ‘She had tasted sweets and bitters of life.’를 번역한
‘그녀는 세상의 고락을 다 겪었다.’의 ‘고락’에 대해 위와 같이 잘근잘근 분석할 수 있어야 ‘고락’이란 단어가 드디어 자기의 것이 된다. 한자력 + 어휘력이 문해력이다.
일찍이 소동파가 쓴 ‘무창구곡정기’(武昌九曲亭記)란 글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맨 앞 문제에 대한 답이 여기에 들어 있다.
“천하에 즐거움은 무궁하지만,
마음에 맞아야 기쁨이 된다.”
天下之樂無窮, 천하지락무궁
而以適意爲悅. 이이적의위열
●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속뜻사전 편저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