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7(금) 한자&명언 成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관련링크
본문
2022. 1. 7(금)
한자&명언
(1290)
成 果
*이룰 성(戈-7, 6급)
*열매 과(木-8, 6급)
‘지금까지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의 ‘성과’ 같이
표음문자로만 써 놓은 한자어는 수박 같아서 겉으로는 알 수 없다.
표의문자로 ‘成果’라 써서 하나하나 그 속을 뜯어보자.
成자에 대하여 여러 설이 있는데, 힘센 장정(丁)이 도끼 같은
연장(戊)으로 무언가를 만들고(이루고) 있는 것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루다’(accomplish)가 본뜻이다.
果자는 田(밭 전)과 木(나무 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밭에 심은 나무’를 뜻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이 경우의 田은 나무에
달린 열매 모양이 바뀐 것이다. 원래는 세 개였는데 하나로 대폭 감소됐다.
쓰기의 편리함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 그렇게 변화됐다.
‘열매’(fruit), ‘과단성 있는’(determined) ‘정말’(indeed) 등으로 쓰인다.
成果는 ‘이루어 내거나 이루어진[成] 결과(結果)’를 이른다.
어떤 일을 시작하는 것은 쉽다. 어려운 것은 무엇일까?
중국 당나라 때 ‘貞觀政要’(정관정요)란 저명 역사서를 지은 오긍(670-747)의 답은 이랬다.
“행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매듭까지 잘짓는 것이 어렵다.”
非行之難, 비행지난
終之斯難. 종지사난
- 吳兢.
● 글쓴이: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추신: 어쭙잖은 이 글을 읽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생각이 깊어지는 느낌이 든다는 독자분이 있으셔서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이런 잡글을 계속 올리는 점! 양해를 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