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27(월) 한자&명언 向上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관련링크
본문
2021. 12. 27(월)
한자&명언
(1281)
向 上
*향할 향(口-6, 6급)
*위 상(一-3, 7급)
‘한자어 어휘력이 높아야 모든 과목 성적이 향상될 수 있다.’의 ‘향상’은?
➊享上, ➋向上, ➌香床, ➍香象. 답은 ➋. 오늘은 ‘向上’에 대해 차근차근 야금야금 풀이해 본다.
向자는 아득한 옛날 반 지하 움집의 창문 모양을 그린 것으로
‘창문’(a window)이 본래 의미였다. ‘방향’(a direction) ‘향하다’(front) 등으로도 쓰인다.
上자가 갑골문에서는 ‘위’(upward)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의 긴 기준선 ‘위’에 짧은 선을 하나 더 그어놓은 것이었으니
지금의 ‘二’자와 비슷했다. ‘2’(two)를 뜻하는 ‘二’(당시에는 두 줄의 길이가 똑같았음)와
혼동하는 사례가 많아지자 그것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로 수직선을 세웠다. ‘꼭대기’(the top)나 ‘임금’(a king)을 뜻하기도 한다.
向上(향:상)은 ‘기능이나 정도 따위가 위[上]로 향(向)하여 나아감’,
또는 ‘그렇게 좋아짐’을 이른다.
예전에 농업이 나라의 기간 산업일 때 군주는 국력 향상을 위하여 다음 세
가지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기록이 있다. 사실 4차 산업 시대인 요즘도
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 같다.
“위로는 하늘의 때를 따르고,
아래로는 땅의 물자를 다하고,
가운데로는 사람의 힘을 활용한다.”
上因天時,
下盡地財,
中用人力
- ‘淮南子’.
● 글쓴이: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