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15(수) 한자와 명언 早期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관련링크
본문
2025. 1. 15(수)
한자와 명언(2038)
早 期
*이를 조(日-6, 5급)
*때 기(月-12, 6급)
한때의 성공은 큰 의미가 없다. 끝끝내 성공해야 그 빛이 오래오래 간다. ‘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고칠 수 있다’의 ‘早期’란 두 글자를 속속들이 알아본 다음에 관련 명언을 소개해 본다.
早자가 원래는 ‘해 일’(日)과 ‘으뜸 갑’(甲)이 합쳐진 것으로 ‘이른 아침’(early morning)을 뜻하는 것이었다. 후에 甲이 十으로 간략화 됐고, ‘일찍’(early)이란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期자가 갑골문에서는 其와 日이 합쳐진 것이었는데, 篆書體(전서체) 이후로 日이 月로 바뀌었다. ‘만나다’(meet)가 본래 의미다. 만날 때에는 달 모양을 보고 날짜를 정하였기에 ‘달 월’(月)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其(그 기)는 발음요소다. ‘시간’(time) ‘시기’(period)를 뜻하기도 한다.
早期(조:기)는 ‘이른[早] 시기(時期)’를 이른다. ‘아침 일찍 일어남’, ‘슬픔을 표하기 위해 다는 깃발’도 [조기]라고 하는데, 한자로는 각각 早起, 弔旗라 달리 쓴다.
병은 일찍 발견할수록 좋으나 성공은 늦어도 괜찮다. 이런 명언이 있다. 중국 명나라 때 저명 소설가가 남긴 말이다.
“올되는 사람이라고 끝까지 성공한다는 법 없고,
늦되는 사람이라고 끝내 성공 못 한다는 법 없다.”
早成者未必有成, 조성자미필유성
晩達者未必不達. 만달자미필부달
- 馮夢龍의 ‘警世通言’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