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16(월) 한자와 명언 忠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관련링크
본문
2024. 12. 16(월)
한자와 명언(2021)
忠 誠
*충성 충(心-8, 5급)
*공경할 성(言-14, 5급)
‘조선 시대에 신하들은 부모에 대한 효도보다 나라에 대한 충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의 ‘충성’은? ①衷誠 ②忠性 ③衷性 ④忠誠. ‘忠誠’에 대해 충실하게 알아보자.
忠자는 ‘(마음을 다) 바치다’(sacrifice)는 뜻이니 ‘마음 심’(心)이 의미요소다. 中이 발음요소임은 衷(속마음 충, 衣+中)도 마찬가지다. ‘성실하다’(faithful)는 뜻으로도 쓰인다.
誠자는 언젠가는 믿음을 얻을 수 있는 ‘진심’(earnest)을 뜻하기 위한 것으로 ‘말씀 언’(言)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말은 진심에서 울어 나오는 것이라야 믿음을 살 수 있다는 뜻이 담긴 셈이다. 成(이룰 성)은 발음요소다.
忠誠은 ‘몸과 마음을 다 바쳐[忠] 공경함[誠]’이 속뜻인데, ‘나라나 임금에 바치는 곧고 지극한 마음’을 이르는 것으로 많이 쓰인다. 비슷한 말로, 충성(衷誠), 충간(忠肝), 충담(忠膽), 충렬(忠烈), 순충(純忠), 견마지로(犬馬之勞), 견마지성(犬馬之誠), 견마지역(犬馬之役), 견마지충(犬馬之忠) 같은 것이 있다. 한자를 모르면 어려운 말이지만, 한자를 알면 대단히 쉽고 유용하고 유식한 표현이다. 한자를 모르고 공부를 잘하려고 생각하는 것은, 구구단을 외지 않고 수학을 잘하려는 것과 같다.
아무튼, 중국 속담에 아래와 같은 말이 있다. 국회의원은 당론에 따르는 충성이 곧 나라를 위한 일이 된다. 정당 정책을 지지해 준 국민을 배신하면 안 되기 때문이다.
“충신은 충성에 목숨을 걸고,
효자는 효성에 목숨을 건다.”
忠臣死忠, 총신사충
孝子死孝. 효자사효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