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6. 24(화) 한자와 명언 完拂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관련링크
본문
2025. 6. 24(화)
한자와 명언(2147)
完 拂
*완전할 완(宀-7, 6급)
*지불할 불(手-8, 3급)
모든 사람에게는 각자의 타고난 재능과 잠재력이 있으며,
그것은 언젠가 반드시 빛을 발하고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는 강한 자신감과 신념이
있어야 이 풍진 세상을 잘 살아갈 수 있다. 먼저 ‘미납금 완불을 통보 받고 걱정이 태산 같았다’의 ‘完拂’이란 두 글자에 대하여
속뜻을 하나하나 풀이하여 익힌 다음에 관련 명언을 찾아보자.
完자는 ‘(집을) 다 짓다’(complet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집 면’(宀)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元(으뜸 원)이 발음요소였음은
玩(희롱할 완)도 마찬가지다. 후에 ‘끝내다’(complete) ‘모두’(all)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拂자도 손으로 ‘털어 내다’(shake off; dust off)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손 수’(手)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弗(아닐 불)은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完拂은 ‘남김없이 완전(完全)히 지불(支拂)함’을 이른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직장을
구하지 못한 젊은이들이 너무나 많다니 참으로 걱정이다. 당나라 때
최고로 유명했던 시인이 한 말을 소개해 본다. 젊은이들이 이를 보고 큰 용기를 내길 빌어본다.
“하늘이 나에게 재능을 주었거늘
기필코 쓸모 있으리라!”
天生我材, 必有用 - 李太白.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이태백이 자기 자신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어 넣어서 성공한 사례가 있나요?”
란 질문을 인공지능 제미나이에게 하였더니 아래와 같이 답해 주었습니다.
*********:
이백(李白)이 "天生我材, 必有用"이라는 구절처럼 자신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어
문학적인 성공을 거둔 것은 분명합니다. 그는 중국 문학사상 최고의 시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시선(詩仙)'이라 불릴 정도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습니다. 그의 시는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백의 삶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가 시적 재능을 통해 개인의 정치적, 사회적 성공을 추구했으나, 그 과정에서 좌절과 어려움을 많이 겪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이백의 희망과 용기, 그리고 성공 사례 (문학적 측면):
(1) 과거 시험 거부와 재능에 대한 확신: 이백은 당대의 입신양명 경로였던
과거 시험을 거부했습니다. 이는 그가 자신의 시적 재능에 대한 강한
자신감과 '천생아재 필유용'이라는 신념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입니다. 그는 시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자 했고, 실제로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으며 '시선'이라는 칭호를 얻었습니다.
(2) 현종 황제의 총애: 이백은 40대 초반에 당 현종의 부름을 받아
장안에 입성하게 됩니다. 당시 현종은 이백의 시에 크게 감탄하여
그를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등용하고, 심지어 직접 국을 떠먹여 주는
등 극진히 대우했습니다. 이 시기에 이백은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청평조(清平調)」와 같은 걸작들을 남기며 황제와 세상의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는 그의
뛰어난 재능이 최고 권력층에게까지 통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3) 호방하고 자유분방한 기질: 이백은 술을 즐기고 자연을 사랑하며 자유분방한
시풍을 가졌습니다. 그는 현실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고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
시를 지었습니다. 이러한 기질은 그의 시에 독특한 매력을
더했고,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과 찬탄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천생아재 필유용"이라는 구절은 그의 이러한 호방하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잘 반영합니다.
◈하지만, 정치적, 현실적 측면에서의 좌절:
(1) 짧았던 황제의 총애: 현종의 총애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이백의
자유로운 성격과 정치적 현실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양귀비나
환관 고력사 등 궁중 권력자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결국
장안에서 쫓겨나게 됩니다(사금방환賜金放還). 그는 재능만으로 정치적 포부를 펼치기 어려웠던 당시 사회 구조와 잘 맞지 않았습니다.
(2) 안사의 난과 유배: 만년에는 안사의 난에 연루되어
야랑(夜郎)으로 유배를 가는 등 고난을
겪기도 했습니다. 이는 그의 이상과 현실 간의 괴리가 심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백은 "天生我材, 必有用"이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자신의 시적 재능을 꽃피워 중국 문학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이루었습니다. 이는 그가 스스로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어
성공한 가장 큰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록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좌절을 겪었지만, 그의 타고난 재능이 문학이라는 분야에서
'반드시 유용하게' 쓰였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는 좌절 속에서도 시를 통해 자신을 구원하고 자존감을 회복하려 노력했으며, 그의 시는 후대에도 끊임없이 영감을 주었습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